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왜 똑똑한 사람들이 허무해지는가" 너무 많이 알아버린 시대의 역설

My Life/미도지반

by 문세환 2025. 5. 2. 13:59

본문

이 글은 일상의 작은 깨달음을 기록합니다.



迷(미) – 생각보다 먼저 들어오는 정보, 나는 판단하고 있는 걸까?

 [ 인포데믹(Infodemic) ] : 잘못된 정보가 전염병처럼 빠르게 퍼져 사회를 위협하는 현상

예전부터 알고 있던 이 단어가 며칠 전 문득 새롭게 다가왔습니다.

병원에서 일을 하다 보면, 보호자분들이 인터넷에서 검색한 정보를 가져와 검사나 치료에 대해 말씀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그 정보들이 의학적으로는 명백히 잘못되었거나, 맥락이 완전히 빠져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입니다.

"유튜브에선 ○○이 효과 좋다던데요?"
"이건 인터넷에서 본 건데 왜 여기선 그렇게 안 해요?"

그 질문들 속엔 보호자들이 느끼는 혼란스러움, 당황스러움, 심지어는 의료진을 향한 의심까지 엿보입니다.

그날 따라, 오랜 시간에 걸쳐 제가 쌓아 온 전문적인 지식이 오히려 받아들여지지 않는 풍경 속에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혹시 나도 무의식 중에 똑같이 하고 있는 건 아닐까?"
"내 생각은, 내 생각이 맞을까?"

 

途(도) – 정보가 쏟아지는 시대, 나는 어떤 방식으로 생각하고 있는가

하루에도 수백 개의 뉴스, 피드, 영상들이 별다른 노력 없이 우리의 손안에 들어옵니다.
그 정보들은 익숙한 논리, 알고리즘의 방향성, 그리고 반복 노출을 통해 우리의 판단에 영향을 미칩니다.

정보는 넘치지만, 그 정보들을 비판 없이 흡수할 때, 사고의 경계는 쉽게 무너지고, 내 생각은 나의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편집물이 되기도 합니다.

내가 ‘스스로 생각하고 있다’고 믿었던 많은 것들이 실은 누군가가 심어놓은 언어, 내가 원해서가 아니라 단지 익숙해서 받아들인 신념일 수 있다는 자각일 수 있겠다는 자각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래서 한참을 알고 있었던 정보인데도 그것이 나를 더 깊게 만들지 못하고, 도리어 더 조급하고 피로하게 만들었다는 걸 늦게야 자각하게 되었는 지도 모릅니다.

정보는 받아들이고는 있었지만, 사고는 하고 있지는 않았던 것입니다.

이를 자각한 뒤에야 생각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정보를 얼마나 아느냐보다, 정보 속에서도 내가 누구로 남아 있을 수 있는가.
그게 더 중요하다는 것을.

 

知(지) – 나는 내가 하고 있는 생각에 의해 존재한다

정보를 얼마나 아는 것이 아니라,
정보에 대해 '어떻게 사고하는가'가 나의 존재를 규정합니다.

정보는 기억에 남지만, 사고는 존재에 남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정보를 접합니다.
그 정보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질문을 던지고, 어떤 관점으로 소화하느냐에 따라 나라는 사람의 깊이와 사고의 방향은 전혀 달라집니다.

단지 정보를 많이 안다고 해서, 그 사람이 반드시 깊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정보가 많을수록 사고는 정지하고, 정체성은 희미해질 수 있다는 역설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비판 없이 받아들인 정보는 내가 직접 선택한 생각이 아니라, 타인의 논리로 구성된 '가짜 정체성'일 수 있습니다.

“당신은 지금 어떤 사고 방식으로 자신을 정의하고 있습니까?”

사고하지 않으면, 우리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혹여, 존재는 남아 있지만, 그 존재는 더 이상 ‘주체적인 나’가 아니라, 타인의 시선과 언어로 조립된 반응적 인간일 수 있습니다.

정보 속에서도 내 존재의 리듬을 잃지 않기 위해 지금 내가 어떤 질문을 품고 살아가는지가, 결국 내가 어떤 사람인지 말해주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返(반) – 사고는 혼자 하지만, 객관성은 질문에서 온다

앞으로 저는, 정보에 휩쓸리지 않고 사고의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 삶 안에서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태도’를 만들어 가려합니다.

정보를 그냥 소비하는 대신, 그 정보가 내 감정과 사고에 어떤 파장을 남기는지를 의식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일상의 루틴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 매일 저녁 쓰고 있는 일기를 통해,
단지 감정을 풀어내는 데 그치지 않고, 하루 동안 내가 마주한 정보들 속에서 나의 판단, 반응, 해석을 글로 가시화하며,
이건 정말 나의 시선이었을까?”라고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겠습니다.

- SNS나 뉴스 앱을 열기 전,
“지금 나는 무엇을 확인하고 싶어 하는 걸까?”라는 짧은 질문을 던져 보겠습니다.
이 자각의 순간은 반사적 소비를 멈추고, 의식적 선택으로 전환하는 관문이 될 수 있습니다.

- 일주일에 한 번쯤은,
나를 흔들었던 정보나 사건을 꺼내 스스로에 질문을 던져 보겠습니다.

“이 정보에 내가 왜 그렇게 반응했을까?”
“그 생각은 어떤 내면의 기대나 두려움에서 비롯된 걸까?”
“내가 진짜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는 무엇이었을까?”

이런 작은 질문을 반복하다 보면, 저는 정보에 휘둘리지 않고,
정보를 통과해 나를 다시 만나게 되는 사고의 거울을 얻게 될 것이라 믿습니다.

생각은 혼자 할 수 있지만, 객관성은 질문 속에서 태어나고, 존재는 질문에 응답하며 성장합니다.

앞으로 단지 정보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아니라, 끊임없이 질문을 품고 살아가는 나의 방식으로 존재를 증명하겠습니다.

 

🌱 미도지반 질문 (Coaching Reflection Questions)

  1. 나는 지금 어떤 질문을 품고 살아가고 있는가?
    → What kind of questions am I currently living with?

  2. 내가 최근 받아들인 정보 중, ‘진짜 나의 생각’은 얼마나 되었을까?
    → Among the information I've consumed recently, how much truly reflected my own thinking?

  3. 앞으로 내가 사고의 주도권을 회복하기 위해 실천할 수 있는 하나의 작은 루틴은 무엇인가?
    → What is one small daily routine I can adopt to reclaim my thinking autonomy?



💌 아래 링크를 통해 지금 바로 함께하세요

👉 당신이란 존재 그 자체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 커리어 컨설팅 또는 라이프 코칭이 필요하신 분들은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빠르게 문의해 보세요.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스타트앳 라이프코칭센터 | 최원준 | 서울시 노원구 동일로198길 64, 인광빌딩 3층 | 사업자 등록번호 : 714-44-00501 | TEL : 02-949-5841 | Mail : work-place@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20-서울노원-0618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